반응형
'하지(夏至)'란? 일 년 중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다는 날
24절기 중 열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 망종(芒種)과 소서(小暑)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는 5월, 양력으로는 대개 6월 21일경이다.
24절기: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위해 만든 것, 춘분점 기준으로 15도 간격으로 점을 찍어 24개의 절기로 나타냄
춘분점을 기준으로 하여 태양의 황경이 90도 하지점(황도상 가장 북쪽에 위치)에 이르는 때는 양력 6월 21일 또는 22일이다.
황경: 황도좌표계의 북, 남극과 어떤 전체를 지나는 대원이 황도와 교차하는 점으로부터 춘분점까지의 각거리
북반구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 길고, 태양의 남중고도(南中高度)가 가장 높아진다.
그러나 남반구에서는 북반구와 반대로 하지에 낮의 길이가 가장 짧고 태양의 남중고도가 가장 낮다.
정오의 태양 높이도 가장 높고, 일사 시간과 일사량도 가장 많은 날이다.
북극지방은 하루 종일 해가 지지 않으며(백야), 남극은 수평선 위에 해가 나타나지 않는다.(극야) 동지(冬至)에 가장 길었던 밤 시간이 조금씩 짧아지기 시작하여 이날 가장 짧아지는 반면, 낮 시간은 일년 중 가장 길어져 무려 14시간 35분이나 된다.
일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북반구의 지표면은 태양으로부터 가장 많은 열을 받는다. 그리고 이 열이 쌓여서 하지 이후로는 기온이 상승하여 몹시 더워진다.
일년 중 태양이 가장 높게 뜨고 낮 시간이 가장 긴 하지는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는 절기이며, 하지무렵은 한 해 농사 중 가장 바쁜 시기이다.
요즘처럼 농사법이 계량화되지 않았던 과거에 이모작을 하던 남쪽지방에서는 '하지 전 삼일 후 삼일' 이라 하여 이때를 모심기의 적기로 여겼다.
이모작: 같은 경작지에서 1년에 두 번 곡물을 수확하는 토지의 이용법. 보통 여름에는 벼, 겨울에는 보리, 밀 등을 경작함을 말하며, 그루갈이라고도 한다.
하지가 지나면 오전에 심은 모와 오후에 심은 모가 다르다라는 속담처럼 각 농가에는 하지가 지나기전에 모내기를 끝내느라 마냥 바빠진다.
이때가 되면 농부들은 노심초사하는데, 바로 장마와 가뭄 때문이다.
옛날 농촌에서는 흔히 하지가 지날 때까지 비가 오지 않으면 기우제를 지냈다.
기우제(비가 내리기를 비는제사)는 마을전체의 공동행사였다.
"하지가 지나면 구름장(넓게 퍼진 두꺼운 구름덩이)마다 비가 내린다"라는 옛말처럼 본격적인 장마철이 시작된다. 그래서 우리 선조들은 하지에 비가 오면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
전해져오는 말로 "하짓날은 감자 캐먹는 날이고 보리 환갑이다." 라는 말이 있다.
'하지가 지나면 보리가 마르고 날이 잘 베지 않으며 감자의 싹이 죽는다'는 뜻을 담고있다.
그래서 이날 "감자 천신한다(철따라 새로 난 농산물을 먼저 신위에 올리다)."고 하여 감자전을 부쳐 먹었다.
하지날, 한해에 가장 긴 낮을
감자전에 동동주 한잔 곁들이며
지는 노을을 보며 하루를 보내는 건 어떨까요?
아니면, 백야나 극야를 체험해보러
떠나는 해외여행도 꽤 멋질 것 같네요.~~!!
반응형
'365일 중 오늘은 무슨 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해 삼복(초복·중복·말복)은 언제일까? 복날 계산법으로 알아보자! (0) | 2019.07.08 |
---|---|
'철도의 날'이란?(2018년부터 6월 28일로 변경) (0) | 2019.06.28 |
6.10민주항쟁의 날, 그날을 기억하자 (0) | 2019.06.08 |
우리나라 3대 명절 '단오'의 유래와 풍습, 그리고 음식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9.06.06 |
세계 환경의 날! 환경보호에 동참해보자~~! (0) | 2019.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