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65일 중 오늘은 무슨 날?

추석! 한가위의 풍습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자!

반응형

 

한가위의 풍습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자!

 

추석(秋夕)이란?

우리나라의 대표적 명절 중 하나로 음력 8월 15일이며 신라의 가배(嘉俳)에서 유래하였다고 전해집니다. 이때에는 햅쌀로 송편을 빚고 햇과일 따위의 음식을 장만하여 차례를 지내는데 추석은 중추절(), 가배(), 가위, 한가위라고도 부릅니다.

 

중추절()이라 하는 것은 가을을 초추(7월)·중추(8월)·종추(9월) 3달로 나누어 음력 8월이 중간에 들었으므로 붙은 것이며 추석은 가배(嘉俳)에서 유래된 것이므로 가배로 부르기도 하며, '가위'는 '8월의 한가운데' 또는 '가을의 가운데'를 의미하며, 한가위의 ‘한’은 ‘크다’는 뜻으로 이 말들을 합쳐 '8월의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란 뜻 또는 '가을의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을 의믜하여 한가위라 부르기도 합니다. 

 

추석의 풍습

오랜 전통이 있는 추석명절에는 여러 가지 행사와 놀이가 세시풍속(歲時風俗)으로 전승되고 있습니다.

 

1. 추석빔

추석이 되면 조석으로 기후가 쌀쌀하여지므로 사람들은 여름 옷에서 가을 옷으로 갈아입는데, 추석에 입는 새 옷을 ‘추석빔’ 이라고 하며 옛날 머슴을 두고 농사 짓는 가정에서는 머슴들까지도 추석 때에는 새로 옷을 한 벌씩 해주었다고 합니다.

 

2. 차례

 

추석날 아침 일찍 일어나 첫 번째 일은 차례를 지내는 일입니다.

설날과는 달리 흰 떡국 대신 햅쌀로 밥을 짓고 햅쌀로 술을 빚으며 햇곡식으로 송편을 만들어 차례를 지냅니다. 가을 수확을 하면 햇곡식을 조상에게 먼저 천신[薦新: 새로 나는 물건을 먼저 신위(신령의 자리로서 설치된 것이나 장소)에 올리는 일] 한 다음에 먹는데 추석 차례는 이러한 천신의 의미가 있습니다.

 

3. 성묘

 

성묘(省墓)는 조상의 묘를 찾아가 손질하고 살피는 일로 주로 추석이나 한식[寒食: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 설날·단오·추석과 함께 4대 명절에 해당하는 명절] 때 성묘를 합니다. 차례를 지낸 뒤 음복[飮福: 제사를 지내고 난 뒤 제사에 쓴 음식을 나누어 먹는 것]을 하고 조상의 산소에 가서 성묘를 하는데 추석에 앞서 미리 갈아놓은 낫으로 산소에 가서 벌초를 합니다.

 

그리고 성묘는 사실상 조상의 묘를 손질하는 것과 배례[拜禮: 절하는 예(禮)]가 합해진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묘제[墓祭: 무덤 앞에서 지내는 제사, 역사적으로 묘제시기는 다양)를 지내면서 추석에는 성묘만 하기도 했으나, 시대가 바뀜에 따라 일정한 날을 정하여 묘제를 지내는 것이 추석 차례 때 성묘하면서 묘제를 함께 지내는 것으로 일반화되고 있습니다.

 

4. 의례

 

추석에 행하는 의례로 '올베심리'와 '풋바심'이 있습니다.

올베심리란?

주로 호남지방에서 그 해 난 올벼(제철보다 일찍 여무는 벼)를 조상에게 천신(薦新)하는 제를 말하며 올기심리, 올계심리, 오리십리, 올비신미라고도 부릅니다.

풋바심이란?

주로 영남지방에서 채 익지 않은 벼나 보리를 떨거나 훑어서 양식으로 삼던 풍속을 말하며, 바심이라고도 합니다.

이 풋바심한 쌀로 밥을 짓고 추석차례를 지내며, 이것은 올베심리와 같습니다. 

 

5. 반보기, 근친

 

또 다른 추석의 풍속으로는 반보기와 근친()이 있습니다.

 

반보기란? 

늦여름이 다 가도록 농사에 바빴던 일가 친척들이 추석 무렵이면 서로 약속하여, 양편의 중간 지점에서 만난는 것이 반보기인데 중간지점에서 만난다 하여 중로상봉() 또는 중로보기라고도 합니다.

 

근친(親)이란?

시집간 딸이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뵙는 것을 뜻하는데 대부분 지역에서 추석 전후가 되면 이런 반보기가 아니라 ‘온보기(하루동안 만나는 것)’로 새색시들이 근친가는 일이 많았습니다.

예전에 사돈 간의 교류가 없었고 여성의 외출이 금기였던 시절시집 간 딸이 친정 부모를 만나는 일은 쉽지 않았고 농사일이 한창일 때 친정 나들이는 불가능했습니다농한기에 친정 부모와 당일 만남이 용인되기도 했지만 친정이 멀면 하루 만에 다녀올 수 없으니 사전에 기별을 넣어 친정과 시댁의 중간쯤에서 상봉하는 모녀의 당일치기 만남 반보기를 행하곤 했습니다.

 

 

 

 

 

가마싸움(출처: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6. 놀이

 

전국적으로 다양한 놀이가 전승되며 다음과 같은 놀이가 있습니다.

 

[강강술래]

전라남도 해안 지역에서 전해져 내려오던 민속놀이로 우리 고유의 정서와 말과 리듬이 잘 담겨있는 무형 문화유산으로

서로 손을 마주잡고 둥그렇게 원을 지어 노랫가락에 맞추어 돌아가며 춤을 춥니다. 처음에는 느린 가락인 진양조에 맞추어 춤을 추다가 점점 도는 속도를 빨리 하여 춤을 추게 됩니다.

 

이 때 앞소리꾼이 노래를 부르면 다른 사람들은 ‘강강술래’하며 뒷소리를 받는데, '강강' 은 둥근 원을 만들고 논다는 뜻의 전라도 사투리이며 '술래' 는 도적을 잡는다는 뜻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씨름]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먼저 땅에 넘어뜨리는 것으로 승부를 겨루는 우리나라 전통의 민속놀이이자 운동경기로 우리 민족은 각 절기 마다 독특한 풍습과 민속놀이가 행해졌는데, 정월 대보름·삼짇날·단오·초파일·백중·한가위·중양절 등 명절에 즐거움을 나누기 위하여 씨름을 즐겨하였고, 봄부터 쉴 새 없이 농사일에 바쁘다가 농한기를 맞으면 고된 몸과 정신적인 긴장을 풀기 위해서도 씨름을 즐겼다고 합니다. 

 

[가마싸움]

추석을 맞아 서당에 다니는 학동들이 편을 지어 가마를 가지고 이웃 서당과 서로 겨루는 놀이로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매년 추석 때 다리를 사이에 두고 남과 북으로 편을 짜서 가마를 지고 겨루어 상대편의 가마를 먼저 부수거나 기()를 많이 빼앗은 편이 승리하게 되는 민속놀이입니다. 

 

가마싸움은 약 100년에서 150년 전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신식학교가 설립되고 서당이 차츰 쇠퇴하던 1906년경을 마지막으로 중단되었다가 1974년부터 재연하여 전승되었습니다.

 

[소싸움]

두 마리 황소를 맞붙여 승부를 겨루는 놀이로 두 마을 또는 여러 마을에서 마을을 대표하는 소를 끌고 나와 연례적으로 벌인 소싸움은 경상남도 일원과 경상북도 청도 지역 등 이른바 가야문화권에서만 전승되었습니다.

 

'정월 씨름, 팔월 소싸움' 이라는 경북 청도 지역의 향언()처럼 소싸움은 주로 추석 무렵에 행하여졌으며, 이 시기는 농한기이기도 합니다.

 

[소놀이]

소 형상을 만들어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한해 농사의 풍년과 평안을 기원하고 농경사회의 필수 구성 요소인 일꾼과 소의 노고를 위로하는 민속놀이로 '소멕이놀이' 라고도 합니다. 

 

황해도·경기도·충청북도를 비롯한 우리 나라 중부지역과 강원도의 영서지방에서 정월대보름과 한가위로서 한 해에 두 차례 행하여지는데 남자 두 사람이 한 조가 되어 소놀이를 한합니다.

 

두 사람에게 멍석으로 만든 소를 씌우면 앞사람은 막대기로 뿔을 만들어 소의 머리를 구성하고, 뒷사람은 새끼를 꼬아서 꼬리를 만들어 소 시늉을 하며 마을 사람들이 농악대를 구성해서 농악놀이를 한 뒤에 모이면 놀이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추석의 유래

추석 무렵은 농경민족인 우리 조상들에게 있어 봄, 여름동안 가꾼 곡식과 과일의 수확을 거둘 때이며, 만월[滿月:보름달] 날을 맞이하여 먹거리도 풍족하고 마음이 즐거웠습니다. 그리고 이때는 여름처럼 덥지도 않고 겨울처럼 춥지도 않은 계절이므로 속담에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큼만’ 이라는 말이 생긴 것입니다.

 

추석을 명절로 삼은 것은 삼국시대 초기로 가배(嘉俳)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삼국사기> 에 의하면 신라 제3대 유리왕 때 도읍 안의 부녀자를 두 패로 나누어 왕녀가 각기 거느리고 7월 15일부터 8월 15일 까지 한 달 동안 두레 삼(부녀자들이 두레를 이루어 삼베를 짜는 일) 을 하였고, 마지막 날에 심사를 해서 진 편이 이긴 편에게 한턱을 내고 회소곡[會蘇曲: 춤추며 탄식하는 조로 불렀다고 하는 노래로 가사는 전해지지 않음을 부르며 놀았는데 이것을 가배라고 하였습니다. 

 

가배라 부른 것은 여러 의미가 있는데, 가배의 어원은 '가운데' 라는 뜻을 지닌 것으로도 보는데  음력 8월 15일은 대표적인 우리의 만월 명절이므로 이것을 뜻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진 편에서 이긴 편에게 잔치를 베풀게 되므로 ‘갚는다’ 는 뜻에서 나온 것으로도 유추됩니다.

 

 

 

반응형